본문 바로가기

뉴스거리

‘홈플런’ 홈플러스 또 세일, 현금확보 사활

728x90
반응형

국내 대형마트 2위 업체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 개시로 일시 중단됐던 납품대금을 재개하면서 영업 중단 위기 사태 수습에 나선 가운데 9일 경기 지역 내 한 매장에서 직원이 제품을 정리하고 있다. 뉴시스

 

기업회생절차를 밟고 있는 대형마트 홈플러스가 현금 유동성 확보를 위해 이달 추가적인 대규모 판촉 행사를 계획하는 등 영업 경쟁력 유지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일부 협력사들이 홈플러스 측에 납품대금 정산 주기 단축과 선입금 등을 잇달아 요구하고 나선 가운데, 적극적인 영업 활동으로 현금 유입액을 늘려 미정산 사태를 막고 소비자·시장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1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연중 최대 규모 세일 행사인 ‘홈플런’이 끝나는 12일 이후 추가적인 세일 행사 개최를 검토 중이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홈플런 행사를 이어가는 추가 세일 행사를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일부 가공식품을 제외하고 과일이나 채소, 육류 등 신선식품의 경우 납품을 중단한 업체는 아직 단 한 곳도 없다”고 말했다.

홈플러스가 일부 제조사들의 납품 중단에도 불구하고 판촉 행사를 잇달아 여는 이유는 상거래 채권 대금 지급에 필요한 현금 확보가 절실하기 때문이다. 영업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으면 현금 유입이 줄고, 납품대금과 근로자 임금 등 상거래 채권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우려가 크다. 홈플러스가 매달 정산해야 하는 상거래 채권 규모는 약 5000억 원 수준으로, 매달 납품 대금 결제에만 평균 3000억∼3500억 원이 필요하다.

홈플러스 측은 납품대금 미지급을 우려해 제품 공급을 중단한 제조사와 협상도 지속해서 이어가고 있다. 오뚜기·롯데웰푸드·삼양식품 등은 한시적으로 납품을 멈췄다가 재개했지만, 롯데칠성음료·동서식품·팔도 등 제조사들은 아직 납품을 재개하지 않고 있다. 일부 제조사들은 홈플러스의 대금 지급 계획이 불확실하다며 정산 주기 축소와 선입금 등 기존 결제 방식 변경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홈플러스는 기업별로 계약이 다르지만 정산 주기가 평균 30∼45일로 이마트(25일)·롯데마트(20∼30일) 등 경쟁사보다 다소 길다.

한 식품사 관계자는 “납품대금 지급 협상 과정이 매일 바뀔 정도로 현장이 다급하게 돌아가고 있다”며 “홈플러스에 재고가 남아 있기 때문에 추후 물량에 대한 대금 지급 방식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정치권과 노동조합 등 사회단체들도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촉구하고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는 전날 ‘홈플러스 대책 태스크포스’를 발족하고 홈플러스 노조와 입점 업체 점주들과 만나 의견을 청취했다. 홈플러스 노조는 이번 주 기업회생에 따른 자산 매각이나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내용의 현수막을 전 점포에 내걸고 투쟁에 나설 방침이다.

 

<출처: 문화일보>

728x90
반응형